SR Star Reading 테스트로 꾸준한 영어 책 읽기 지수 평가

2021. 8. 31. 23:03영어

728x90

 

학생들의 영어 수업을 진행하면서 또 영어 독서 지수를 평가하기란 참으로 쉽지 않다.

영어 독서를 선정하기 전 여러 기관들의 테스트를 점검하던 중, 한국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온라인 영어 책읽기 독서 지수는 기관마다 제각각이라 종합적인 평가란 생각이 들지 않았다. 또한 영어 교육의 큰테두리에서 보자면, 지극히 한쪽으로 치우쳐진 한국식 영어공부로 귀결되는 독서 지수가 아닐까 싶었다. 따라서 고민하던 중 르네상스를 결정하게 됐고, 르네상스 SR 지수는 이러한 면에서 굉장히 다양하고 자세하게 다뤄준다고 볼 수 있다. SR Diagnostic 을 보면 개인별 학생의 현재 지수와 그에 상응하는 책 이해 능력 / 읽기 능력 / 스피킹 능력 / 책 범위까지 자세하게 나와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책을 자유롭게 고를 수 있고 또 흥미 위주로 책 읽기를 확장해 갈 수 있는 패턴이 생긴다.

오늘은 특별히 학생의 책읽기 과정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Student Progress Monitoring 리포트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일단 아래의 캡쳐 사진을 보면 이 학생의 3월부터 7월 현재까지 SR 지수를 그래프로 한 눈에 볼 수가 있다.

2021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 매달 본다면 총 12개의 Enterprise Test (파란색 다이아몬드)가 표시될 예정이니 학생의 일년 동안의 책읽기 지수와 그래프 현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 일년 성취도도 평가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르네상스 SR 과정 점검표  Star Reading 

 

 

지금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는  위의 학생은, 꾸준한 영어 독서로 처음보다 기대했던 이상보다 영어 친화도가 훨씬 높다.

특별히 이해 능력이 점점 더 깊어지고 있다는 것을 수업시간 때 알 수 있다. (이는 말하기 / 쓰기 / 읽기 영역에서 수업을 처음 시작했을 때보다 훨씬 두각을 보이고 있다.) 이 학생의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매일 20분 이상의 영어 책읽기를 수행하고 있고 자신의 목표 점수인 85 % 까지 미치지는 못했지만, 꾸준히 책을 읽는 연습이 선행되어 이러한 지수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단 6월에 SR을 보지 않아서, Enterprise Test가 중간에 살짝 벌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3월 / 4월 /5월 / 7월 이렇게 표시되어 있다. 현재 캡쳐본은 PDF 파일이라 자세한 점수가 기록되지 않지만, 르네상스 사이트에서는 자세한 점수도 그래프 상에 보인다.

 

SR을 통해서 학생의 보다 정확한 읽기 능력, 특히 수능에서 점점 더 어려운 문해력을 요구하고 있는 현 시점에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학생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자료가 되지 않을까 싶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체계적으로 SR을 평가하고 이를 수업에 사용할 수 있는 선생님들이 나온다면 앞으로는 더욱 분석적이고, 영어를 마치 국어 공부를 하는 것처럼 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시킬 수 있다고 본다.

 

728x90